2024년 2월 27일 화요일

[문화] “사방에서 초나라의 노랫소리가 들려온다”

  

 [문화]

 사방에서 초나라의 노랫소리가 들려온다

 

 박현욱 (노동예술단 선언)

완전히 포위당했지만 죽기로 싸워 기세가 꺾이지 않던 초나라 군을 한순간에 무너뜨린 것은 신무기도 일기당천의 장수도 아닌 노래였다. ‘사면초가라는 유명한 사자성어를 낳은 한나라와 초나라의 전쟁 이야기한나라 군에 포위된 채 사방에서 들려오는 고향의 노랫소리에 초나라 군사들은 전의를 상실하고 스스로 무너졌다.

요즘 들어 이 고사가 자주 떠오른다곤봉과 방패와 물대포로 포위되었을 때보다 더 큰 공포와 무력감사방에서 자본의 노래가 들려오고그렇게 자본의 문화에 포위당한 채 무너져 가는 느낌이다. ‘에이또 오버한다라고 말하실 분도 계실 테지만생각이나 했겠나노랫소리 하나에 그렇게 허무하게 군대가 무너질 줄.


그럼에도 공포나 무력감까지요즘 나의 사방에서 들려오는 또 다른 소리가 있다민주노조에 몇 남지 않은 문화패들의 노랫소리가 아닌 곡소리다집행부 재정비와 대의원대회가 이어지는 요즘며칠 사이 찾아간 현장의 문화패들은 공통으로 한숨을 푹푹 쉰다. ‘또 문화패 예산 없앤대요문화패 운영 안 한대요.’ 자주 그래왔고 그럴 때마다 문화패의 필요성에 대해 역설하며 방어해 왔지만이번엔 정말 초나라 군사들처럼 전의를 상실한 느낌이다.

그런데 그럴 만도 하다지금 민주노조는 아주 힘드니까. ‘이 힘든 상황에 한가하게 문화 타령이라니?’ 그러다 보니 노동조합 간부들이나 활동가들을 만나 문화활동에 대해 말할 때마다 천덕꾸러기가 된 느낌이다며칠 전 한 노조에서 주최한 민주노조에서의 문화패 활동과 관련한 토론회에 발제자로 참가했었는데나도 모르게 토론회를 주최한 동지에게 바쁘실 텐데 이런 것까지.’라는 말을 해버렸다뭐야나도 초나라 군사가 되어 가는 건가.

아무튼 그럴 만하다 해도 그래서는 안 된다역설적이게도 민주노조는 매우 힘드니까 더욱 그래서는 안 된다미 제국주의와의 전쟁에서 베트남이 승리할 수 있었던 여러 요인 중의 하나가 땅굴 전술인 것은 많이 알려진 사실이다수백 킬로미터에 달하는 좁은 지하에 땅굴을 파고 들어가 버티는 그 절체절명의 순간에도 호찌민은 곳곳에 비교적 넓은 공간을 공연장으로 만들게 했다. ‘무려 미국을 상대로 전쟁을 벌이는 그 순간에 한가하게 공연장이라니?’ 그러나 바로 그렇기에그토록 급박한 절체절명의 상황이기에 더더욱 한 칸의 무기고만큼이나 한 평의 공연장이 필요했다빛 하나 들지 않는 지하터널에서 8년을 버틸 힘그것은 무엇보다 강력한 문화의 힘인 것을 잘 알고 있었을 테니.

민주노조의 문화패는 바로 그 땅굴의 공연장 같은 존재이고 또 그래야 한다실제로 자본과 군사독재그리고 그들과 결탁한 어용노조의 극악한 탄압 속에서도 민주노조의 꽃을 피워내고 민주노총까지 탄생시킬 수 있었던 데에는 노동자 문화패라는 힘이 큰 부분을 차지했다공단 곳곳에 삼삼오오 모여 풍물을 치고 노래를 부르고 연극을 하며 키워낸 노동자 의식이 민주노조를 만들어 내는 밑거름이 되고 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외국 노동운동 활동가들과 가끔 얘기를 나눌 때면 모진 탄압 속에서도 한국 노동운동이 역동성을 잃지 않는 이유는 풍부한 노동자문화가 있기 때문이라는 말을 종종 듣는다그런 문화패가 지금은 민주노조에서 거의 천덕꾸러기 취급 받으며 소멸해 가고 있다물론 때가 되어서 자연스레 소멸해 가는 거라면 뭐가 문제겠는가하지만 노동자 자본가 간 계급대립은 전혀 소멸하지 않았고오히려 심화하는 자본의 위기 속에서 더욱 격화하고 있지 않은가소멸은커녕 노동자문화의 힘과 문화패의 중요성은 더욱 커져서 가고 있지 않은가!

그러니 호미로 땅굴을 파고 그 안에 공연장을 만들던 호찌민과 베트남 민중의 심정으로 이 사면초가의 상황을 좀 더 냉정하게 볼 일이다. ‘예산이 없어서할 사람이 없어서본인들 노래하고 춤추는 걸 왜 노조가 지원해야 하냐?, 딱딱하고 구려서.’ 등 문화패를 없애는 이유는 다양하다그러나 그 모든 것은 지양의 대상이지 폐기의 이유가 될 수 없다.

해서 본질을 따져 보자면우선 노동운동이 전망을 잃은 채 표류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계급해방세계해방이라는 운동의 전망이 사라지면 노동자는 계급적 존재가 아닌 자본주의의 한 구성원이라는 정체성만 남게 된다당연히 노동자계급문화는 어색하거나 불필요해지고 그 자리엔 본인들의 정체성과 더 가까운 대중문화가 채워지게 된다또한 문화패와 문화활동가들도 자신들의 활동을 성찰하고 돌아볼 필요가 있다계급적 문화활동이라는 목적의식성은 사라지고 공연단이 되어버린 채 관성적인 활동을 반복한다면 당연히 조합원들로부터 외면받을 것이기 때문이다.

끝으로 문화는 그저 엔터테인먼트라는 인식이다심지어 헌신적인 활동가들조차 그런 인식을 가진 경우가 많다물론 문화에는 그러한 요소도 있지만 그럼에도 더 깊은 본질은 이데올로기다. ‘한 시대의 지배적 이데올로기는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다라고 맑스가 말했듯노동해방은 그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에 숨구멍 하나만큼이라도 파열구를 낼 때만 가능할 것이며 바로 그 숨구멍을 낼 송곳이 노동자문화이며 문화패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노동자교양예술] 선택적 친화력 – 1809년 괴테의 선택적 친화력 vs 2024년 진보당의 선택적 친화력

한아석 2024 년 총선에서 진보당 ( 그리고 민주노총의 전국회의 정파 ) 은 민주당이 주도하는 위성정당에 들어갔다 .  진보당이 보수 양당들과는 선거 협력을 하지 않는다는 민주노총의 총선 방침을 어기면서까지 국회의원 배지를 향해 이전투구처럼 하는 모...